2025. 3. 28. 01:42ㆍC_Programming
많은 사람들이 C언어나 프로그래밍이라고 하면 어렵다는 이미지를 떠올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로 입문하면 당연히 모르는 것들 천지이고,
때문에 어려움을 느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이 더욱더 그렇게 생각하는 것일 수도 있겠네요.
그래서 이 글에서는
초보들도
쉽게 입문하고 배울 수 있는 Visual Studio를 이용한 C언어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함께 알아가보도록 하겠습니다.

Visual Studio 2022 설치
먼저, Visual Studio 설치부터 해야겠죠?
Google에 Visual Studio 2022라고 검색하시면
가장 위에 마이크로소프트사의 Visual Studio 2022 홈페이지로 이동하는 링크가 나옵니다.
귀찮으신 분들을 위해 링크 남겨놓겠습니다~
https://visualstudio.microsoft.com/ko/vs/
Visual Studio 2022 | 무료 다운로드
Visual Studio에서 코드 완성, 디버깅, 테스트, Git 관리, 클라우드 배포를 사용하여 코드를 작성합니다. 지금 무료로 커뮤니티를 다운로드하세요.
visualstudio.microsoft.com
여기서 용도에 맞게 설치를 하면 되는데, 간단하게 학습할 목적이기 때문에, 'Community 2022' 버전을 설치해주시면 되겠습니다.
프로젝트 만들기
설치가 다 끝나고 Visual Studio를 실행시키면
이런 창이 뜰텐데, 여기서 우측의 시작 칸에 있는
'새 프로젝트 만들기(N)'
를 클릭해주세요.
그러면 '새 프로젝트 만들기' 창으로 넘어갑니다.
여기서 검색창 밑에 C++, Windows, 콘솔 탭이 보이실 겁니다.
Windows는 각자 프로그래밍을 하려고 하는 기기의 플랫폼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ex. 맥북 => MacOS 선택 등..)
다음이 중요한데, 저희는 C언어로 프로그래밍을 하려고 하는데, 찾아보면 C언어는 안 보이고 C#, C++ 등 다양한 언어가 보이실 겁니다.
C++이 사실은 C언어를 포괄하고 있는 더 큰 범위의 언어입니다.
C++이라는 커다란 집합 안에 부분집합으로 C언어가 들어가 있다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 가능할 겁니다.
아무튼 C++, 그리고 각자 기기에 맞는 플랫폼을 선택해 주시고, 마지막 탭인 '프로젝트 형식'은 그냥 콘솔로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콘솔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컴퓨터에 있는 명령프롬프트 같은 검은색 창을 이용한 프로그래밍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다 선택하셨으면 위 사진처럼 '빈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우측 하단의 '다음' 키를 눌러 넘어가 줍니다.
이 창에서는 프로젝트의 이름, 위치, 솔루션 이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이름과 위치는 말 그대로 해석하시면 되지만, 솔루션 이름이 무엇인지는 모르시는 분들이 많을 거라 생각합니다.
솔루션이란, 여러 가지 프로젝트를 포함할 수 있는 상위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솔루션 내에 여러 프로젝트들이 묶여 있는 것이죠.
그러면 솔루션 이름이 뭔지 대충 짐작이 가실 텐데요.
솔루션 이름은 여러 프로젝트를 묶어서 관리하기 위한 이름입니다.
아래에
□솔루션 및 프로젝트를 같은 디렉터리에 배치(D)
라는 선택 칸이 있는데, 이게 무슨 소리냐면
솔루션 파일과 프로젝트 파일이 같은 하나의 큰 파일 내에 들어있도록 한다는 의미입니다.
만약 자신이 하나의 큰 파일 안에 솔루션 파일과 프로젝트 파일을 다 담고 싶다 하면 선택하시면 되고,
그렇지 않으면 무시하고 지나가셔도 됩니다.
이렇게 설정이 끝나고 만들기까지 완료하면
이런 창으로 넘어갈 겁니다.
이제 '프로젝트'를 만드는 것까지는 완료한 겁니다. 여기서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시켜볼 수 있습니다.
코드 작성 및 실행
우측 솔루션 탐색기를 보면, 아까 설정한 솔루션 이름과 프로젝트 이름을 볼 수 있습니다.
아직 코드를 작성하는 칸이 없을 겁니다. 그래서 그 코드를 입력하는 창을 띄우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솔루션 탐색기 -> 소스파일 우클릭 -> 추가(D) 선택 -> 새 항목(W) 선택
똑같이 따라하면
이런 창이 하나 뜰 겁니다.
C++파일(.cpp) 는 건들지 마시고
기본 이름이 '소스.cpp'로 정해져있는데, 이 이름을 바꿔줄 겁니다.
.cpp가 뭐냐?
확장자 명이 .cpp이면 Visual Studio가 '이 프로젝트가 C++언어를 사용하는구나~' 라고 받아들입니다.
그러나, 저희는 C++가 아닌 단순 C언어를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원하는 프로젝트명 뒤에 확장자 이름을 .cpp대신 .c로 바꿔주시면 되겠습니다.
저는 _1_main.c로 했고, 각자 원하는 이름으로 짓되, 뒤에 확장자 명만 .c로 바꿔주기!!
이거 하나만 지켜주시면 됩니다.
간단하게 코드 한 번 작성해 볼까요?
위 코드는 "Hello World!"라는 문구를 출력하는 코드입니다.
차근차근 설명해보겠습니다.
가장 위에 #include <stdio.h> 는 Preprocessor(전처리기) 입니다.
전처리기는 코드를 컴파일(빌드)하기 전에 실행되는, 코드에 대한 사전 작업을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include 를 통해 외부 코드를 추가하는 작업입니다. 콘솔 입출력을 처리하는 전문가를 채용한다고 예를 들어봐도 되겠네요.
뒤에 <stdio.h> 도 볼 수 있는데,
stdio는 'standard input output'의 약자, h는 header file의 약자입니다.
이 <stdio.h>가 뒤에 나오는 printf를 포함한 다양한 명령어들을 불러오는 역할을 합니다.
참고로 stdio.h를 종종 studio.h로 잘못 알고 작성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studio가 아니라 stdio입니다.
다음으로 넘어가서,
int main(void)
{
return 0;
}
입니다.
보이는 것과 다르게 정말 간단한데, int main(void)는 말 그대로 '진입점'이고, return 0;은 코드가 정상적으로 실행 종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진입점과 return 0; 사이에 자신이 실행시키고 싶은 코드를 작성하면 됩니다.
참고로 정말 중요한 부분인데,
코드 뒤에 ;(세미콜론)
을 무조건 붙여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오류가 나고 실행이 되지 않아요~!
설명은 모두 마쳤고,, 실행해 볼까요?
실행시키기 전에, '빌드'라는 작업을 거쳐야합니다. 빌드? 빌드가 과연 무엇일까요?
빌드란, 입력한 소스 코드를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뜻합니다. '컴파일'이라고도 부르죠.
상단 바를 보면 빌드(B)를 찾을 수 있습니다.
버튼을 한 번 눌러볼까요?
그러면 이런 창이 열릴 겁니다.
Project1 작성(U)...
를 눌러주면 빌드를 시작합니다.
맨 아래 출력 창에서 금방 빌드 결과가 나올 겁니다. 빌드가 완료되었으며, ---초가 걸림 이라고 나오면 코드가 오류나 문제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만약 작성한 코드에 문제가 있다면 어떻게 되는지 한 번 볼까요?
아까 그 코드입니다. 뭐가 잘못된 건지 찾으셨나요??
네 맞습니다. 아까 분명 반드시 ;(세미콜론)을 붙여야 한다고 언급했었는데, 바로 위 사진에서는 return 0 뒤에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았죠?
이 상태로 빌드를 다시 해보겠습니다.
아까 빌드 결과가 멀쩡하게 나오던 부분이 오류 목록으로 바뀌었네요.
심지어 어디 부분에서 오류가 났는지 설명과 어디 줄인지도 알려주네요!
그럼 다시 처음 상태로 수정하도록 하죠. 빌드를 마쳤다면, 다음에는 실행을 시켜야겠죠?
아까 보여드렸던 상단 바에서 빌드 바로 옆에 디버그(D)가 있습니다.
누르면 이런 창이 뜰 텐데요. 여기서 저희는 다른 것들은 일단 볼 필요 없이,
'디버깅 시작'과 '디버그하지 않고 시작' 두 개만 볼 겁니다.
일단 둘의 차이는 중단점(Breakpoint)를 고려하냐, 고려하지 않느냐 입니다.
여기서 그럼, 중단점이 무엇인지도 알아야겠죠?
코드 가장 왼쪽의 약간 밝은 회색 세로 바 부분에 마우스 포인터를 한 번 갖다 대 볼까요?
이렇게 하얀 원이 나타날 겁니다. 그 상태로 우클릭을 한 번 해보면
이렇게 빨간색 원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게 바로 중단점입니다. 중단점은 코드가 실행될 때 한 번 멈추라는 지시를 내리는 역할을 합니다.
만약 디버그를 하지 않고 시작을 누른다면, 이 중단점을 무시하고 코드가 바로 실행이 됩니다.
이제 디버깅을 시작하면 검은색 창이 하나 뜨고, 가장 위에 Hello World! 가 띄워져있을 겁니다. 우리가 지금 작성한 코드가 바로 이런 결과를 출력해내는 코드였습니다.
이건 완전 기본 중에 기본 단계이고, 앞으로는 간단한 계산부터 다양한 복잡한 코드도 모두 여기서 작성 후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주석(comment)
Python(파이썬)이든, MATLAB이든, Visual Studio든...
어느 코딩 프로그램에서도 항상 존재하는 것이 바로 주석 달기 기능입니다.
주석은 간단하게 표현하자면, 코드 실행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는 메모장 같은 것입니다.
개발자들이 코드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덧붙이거나 하는 등의 매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각 프로그램마다 주석을 다는 방법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Visual Studio에서는 주석을 다는 방법이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입니다.
간단하게 // 만 입력하고 뒤에 원하는 내용을 메모합니다.
// 뒤에 오는 내용들은 모두 글자색이 초록색으로 변하고, 코드가 실행됨에 있어 아무런 영향도 끼치지 않습니다.
이 방법은 // 만 치면 된다는 편리함이 있지만, 줄바꿈을 할 때마다 또 따로 // 를 입력해 주석 표시를 일일이 달아줘야하는 귀찮음이 있습니다.
두 번째 방법입니다.
/*만 치면 뒤에 */는 알아서 자동 완성됩니다. 그리고 /* 과 */ 사이에 메모할 내용을 적는 방법인데,
이 방법은 주석 표시 내에서 줄을 바꿔도 뒤의 */ 가 끝나지 않는 한, 길이 제한 없이 주석 작성이 가능합니다.
두 방법 모두 주석 달기 방식이니, 취향과 상황에 맞게 선택하여 자유롭게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printf( ) 와 scanf( )
printf( ) 는 가장 기초적인 출력 함수입니다. 프로그램이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디버깅 정보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C언어가 아닌 python같은 언어를 사용하신 경험이 있다면, print( ) 함수가 더 익숙하실 텐데요. (저도 그래요..ㅋㅋ)
그 함수를 C언어 버전으로 바꾼 것이 printf( ) 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네요~!
printf( )에서 f는 format을 의미합니다.
이 코드는 a에 3을 b에 4를, result라는 변수에는 a + b 의 값을 저장해서 3 + 4 = 7 을 출력하는 코드입니다.
printf("%d + %d = %d", a, b, result);
이 코드가 가장 눈에 띄실 텐데요.
일단 %d의 d는 decimal 의 약자로, 10진수를 의미합니다.
%d 총 3개와 뒤에 a, b, result의 관계가 중요합니다.
%d에 순차적으로 a, b, result의 값을 10진수르 집어넣겠다는 의미입니다.
설명한 대로 출력된 내용을 예측해보자면, 3 + 4 = 7 이 되겠죠? 그럼 결과를 한 번 볼까요?
예상대로 3 + 4 = 7이 출력됐네요!!
printf는 이처럼 원하는 것을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추가로 int 라는 것이 있었는데, 간단히 설명만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대표적으로 int, float, str 이 있습니다.
int 는 integer의 약자로, '정수' 를 의미합니다.
float는 floating-point의 약자로, '실수' 를 의미합니다.
str은 string의 약자로, 문자열을 저장하는 데이터 타입입니다.
scanf( )는 printf( ) 와는 다르게 값을 직접 입력받아야 하는 함수입니다.
python으로 따지면 input같은 기능을 하죠.
이 코드는 a와 b에 직접 값을 입력하여 a + b의 값을 출력하는 코드입니다.
일단 float는 방금 설명했던 것처럼 '실수'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scanf( )에서 %f를 사용한 것도 정수(int)대신 실수(float)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근데 scanf( )에서 printf( )와 다른 부분이 보이시나요?
맞습니다. 뒤에 a와 b 앞에 & 표시가 붙어있네요. scanf는 특이하게 뒤에 오는 변수 이름 앞에 &를 붙여주어야 합니다.
scanf( )에서 입력받은 a 와 b를 이용해서 이제 아래에서 result에 a + b라는 값을 저장하고 printf로 원하는 식을 세워 값을 출력하면 됩니다.
위 코드를 실행시키면 그냥 검은 빈 화면만 뜰겁니다.
그러면 위 사진처럼(10 20 처럼) 자기가 입력하고 싶은 두 숫자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printf에서 작성한 식대로 출력과 계산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원래면 10 + 20 = 30이라고 출력결과가 나와야하는데, = 30이 줄바뀜된 상태로 출력된 거 보이시나요?
그 이유는 %f + %f = \n%f에 있습니다.
프로그래밍(C언어)에서 \n 은 출력 결과에 줄바뀜을 추가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
이렇게 Visual Studio의 사용법부터 C언어 프로그램의 기본 요소에 대해 설명해보았습니다.
첫 글부터 긴 글이었지만, 읽느라 수고 많으셨고, 앞으로도 많은, 갈수록 심화되는, 도움되는 여러 정보가 담긴 글을 써내려갈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_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학번과 함께 배우는 C언어 프로그래밍(3) - for 반복문 (0) | 2025.03.28 |
---|---|
25학번과 함께 배우는 C언어 프로그래밍(2) - 조건문 (0) | 2025.03.28 |